2장. 네트워크 레이아웃 설계하기
네트워크 구축계획을 세우는 방법
주요 실행 단계들
- 네트워크 장비와 설치될 위치의 목록을 작성
- 장애물을 고려하여 계획을 조정
- 케이블을 설치할 때 필요한 케이블 관리도구 목록을 작성
- 케이블을 설치
기타 정보
- 건물 평면도를 사용하여 케이블 설치계획 수립
- 케이블의 여분은 보통 5 ~ 10% 추가로 필요함.
- 장비의 전력 공급까지 고려 해야 함.
- 장애물 관통/우회 여부 - 영구적인가 임시적인가
- 네트워크 케이블과 커다란 전선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. 만약 피 할수 없다면 한 발자국 정도라도 떨어뜨려야 한다.
장애요소들
- 벽 - 관통하거나 주위에 설치하기도 함.
- 계단 - 방해되지 않도록 J훅이나 트레이 적절한 위치에 사용하기도 함.
- 창문 - 통과하거나 관통 불가 창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설치해야 함.
- 싱크대, 샤워실과 같이 습기가 있는 모든 장소들 - 케이블을 부식시키거나 스파크를 일으킴, 절대 설치 불가
- 가스레인지와 그 외의 발열제품 - 열은 케이블에 치명적임. 220V 작동하는 전기레인지와 가까우면 네트워크 장비에 장애를 일으키기도 함.
- 전동기를 이용한 장비 - 열뿐만 아니라 진동과 전자파를 발생시킴, 진동은 네트워크 장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침, 그리고 전자파 또한 큰 장애의 원인됨.
케이블 관리도구
명칭
|
설명
|
사진
|
J훅
(전선클립)
|
J훅은 케이블을 걸어 놓을 때 사용합니다.
- 다른 명칭으로 전선클립이라고 하기도 한다.
| * |
케이블 프로텍터
(Cable protected,
전선보호관) |
케이블을 바닥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,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.
- 전선보호관 이라고도 함.
| * |
케이블 트레이
(Cable tray)
|
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많은 양의 케이블 설치할 때 사용함. 케이블 트레이는 공업제품의 형태로써 대부분 지하나
| * |
레이스웨이
(Raceway)
|
벽에 잭이 없는 작업공간에서 케이블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. 보통 회사의 개인 책상은 전화선과 네트워크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해 활용합니다.
| * |
케이블타이
|
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, 너무 꽉 조이지는 말아야 함.
CAT-5 케이블의 선을 너무 조이게 되면 케이블이 뒤틀려 변형되거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.
| * |
스머프 튜브
(케이블 보호 튜브)
|
건물 벽 내부에 설치합니다. 한쪽 끝을 벽의 단자함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끝을 사람들이 접근하기 쉬운 곳에 설치합니다. 그러나 지하나 다락방처럼 숨겨진 장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.
| * |
패치 패널
(patch panel)
|
클로짓 내부의 케이블과 전선의 연결 상태를 정리하는데 사용하는 도구
- 전화기의 스위치 보드처럼 작동하지만 케이블을 위한 장비
| * |
110블록
(110 Blocks)
|
과거 음성급 회선 접속에 주로 사용되었던 66블록(25쌍,50회선 수용)에 비해 데이터급 회선까지 포함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25~500쌍 정도의 회선을 고정시키고 정렬하기 위한 단자대(커넥팅 블록)을 말한다.
| * |
임팩트 툴
|
1/10 블록이나 PATCH PANNEL 작업시 사용하는 툴
| * |
라벨프린터
|
댓글 없음:
댓글 쓰기